본문 바로가기
시골집 농가 폐가 리모델링 과정

밀양 삼랑진 지나서 경북 청도 시골 폐가 주택 리모델링

by 시골스런tv 우삶공 검색 1644-0427 2022. 10. 10.

2012-03-07 22:59:21(다음 블로그작성글)

 

 

 

거의 10년동안 방치된 시골집을 들컥 구매를 한 분이 처음에는

많은 갈등을 하였다고 합니다

리모델링으로는 온전한 집이 되질 않으니 새로 신축을 하는것이

낫다는 말로 한참이나 망설였지만

시골집을 전문으로 리모델링한 경험에 비춰 험할수록 진가는

빛이 날것이란 말에 리모델링을 하기로

결정을 하게 되었답니다

 

 

 

https://youtu.be/seDEuyknOiA

 

모든이의 의견도 그랬지만 리모델링을 시작하면서 언제나 그렇듯

그동안의 노하우로 반듯하게 완성을

하였을때 보는 이들이 탄성을 자아 낼것이란 생각이 들었답니다

오래동안 방치가 되다보니 천정서까래는 아예 아무것도 없는

상태가 되어 버렸고 내부 구조 자체는

그 어떤것 하나 쓸모있는 것은 거의 없었지요~~   

 

(시골집 폐가 리모델링 체크리스트 3가지)

https://blog.naver.com/cmko1016/222975855812

 

시골집 한옥 리모델링 촌집 농가주택 수리 개조시 챙겨야할 체크리스트 3가지

시골집 한옥 리모델링 촌집 농가주택 수리 개조시 챙겨야할 체크리스트 3가지 세월의 빠름을 매일매일 느끼...

blog.naver.com

 

 

내부 구조를 변경하고 하마터면 화목으로 사용될뻔한

고재목을 이용하여 전면확장도 하고 황토블록으로 

시공이 끝나고 나니 조금은 집의 형태가 갖춰지는것

같아 뿌듯함을 느꼈답니다

 

 

 

엄동설한의 날씨에 진행이 되는지라 작업에 지장도 많고

진도 또한 무척이나 드뎠습니다

황토블록에 마감 미장을 하기전 박리현상으로 하자를 최소한

시키기 위하여 메쉬작업을 한 상태입니다

 

 

 

황토블록의 최대 취약점은 순수 황토 흙으로만 만들었기에

습기와 물에 취약할수 밖에 없답니다

세멘트 블록을 시공한곳은 물에 노출된 주방과 보일러실,

욕실은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해 일반 블록조로

시공을 해야만 하였답니다

 

 

 

 

 

지붕공사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트를 걷어내게 되면

폐기물 처리 비용이 의외로 많이 나오기에 덧 씌우는

방식으로 시공을 하기로 하였답니다 물론 단열에도

영향을 주기도 하지요~~걷어내지 않는게 강점 

 

 

 

일반 칼라기와강판 보다 전통기와 쪽에 가까운 왕골형

기와 강판으로 완성된 후면의 모습입니다

 

 

 

구들방에 사용될 순수황토는 잘 쓸어진 볏짚과 함께

반죽을 하고 일주일 정도 숙성을 시킨다음 구들방에

사용이 될것입니다

 

 

 

전통구들방식으로 시공이 되고 작은 돌로

새침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있답니다

 

 

 

구들이 놓여진 틈을 채우는 일은 구들방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입니다

아궁이에는 오래동안  불을 지펴 황토흙을 말리기도 하고 

갈라진 틈사이로 올라오는 연기를

잡기 위함입니다 

 

 

 

새침 작업이 거의 끝이나고 있는 모습입니다

 

 

 

황토로 초벌 미장이 완성된 모습이지요~~황토미장 또한

무척이나 많은 공정이 필요하답니다

 

 

 

불의 색깔을 보면 쫘~악 잘 빨려들어가고 있네요~~

 

 

 

수리하기전 구들방의 천정이 될 부분의 나무들의 모습과

서까래 사이의 흙의 모습입니다

 

 

 

위에서 볼품없는 시골집의 천정이 이렇게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모를 했네요~~

 

 

 

이곳은 수리하기전 재래식 부엌의 자리였는데

흙은 다 떨어져 버리고 뻥뚤린 상태인지라 대나무로

얽어메고 수리후 거실과 욕실이 될 자리입니다

 

 

 

이랬던 천정이 정감있는 모습으로 거듭났습니다

 

 

 

욕실의 천정이기도 하지요

 

 

 

시골에서 보기 힘든 작지만 깔끔한 욕실로 탈 바꿈이 되었답니다

 

 

 

버려질 뻔한 한지 격자 출입문이였는데 이중 창호의

겉에 장식용으로 시공하기전 창의 크기로 축소하는

작업이 남아있기도 합니다

 

 

 

시골집리모델링의 과정중 거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공정들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손길가는 모든것들이

가장 보람을 느끼기도 하지요~~창에 설치가 되면

어떤 분위기를 줄련지.... 

 

 

 

갈고 다듬은 손길이 아깝지 않단 생각이 듭니다

우리 조상님들이 손땀으로 제작한 그 재료를

이용하니 도회지에서는 상상도 하지 못할

멋진 창이 되었습니다 

 

 

 

봄이 되면 활짝 열린 창으로 소중한것들이 가득 들어올것 같습니다

 

 

예전에 구들방으로 나가는 작은 출입문이였는데

역시 창으로 개조를 하였더니 더욱 운치가 있어 보입니다

시골집과 한옥 리모델링을 잘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시골집 폐가 리모델링시 체크리스트)

 

원목으로 설치된 현관문을 활짝 열어놓고 눈앞에

펼쳐진 아기자기한 마을들의 젼경이 시골스럽습니다

 

 

 

 

원목으로 만든 현관 문틈으로 들어올수있는 냉기와

바람을 차단하기 휘해 만든 문풍지 역활을 합니다

 

 

 

아궁이 주변도 마감이 되고 나니 더욱 정감이 느껴집니다

 

 

 

집으로 들어가는 대문 입구쪽의 부분 때문에 차량의

진입도 원할하지 못하여 정화조를 묻을때 들어온

장비를 이용하여 평탄작업도 시작이 될것입니다

물론 무너진 담장도 손을 봐야하지요

 

 

오래전 본채가 있었던 곳이 철거가 되면서 어정쩡한 공간이 되었지요~~

마당이 훨씬 넓어져 공간 활용도 좋을것 같답니다

 

 

 

 

기존 재래식 화장실이 밖에 있었던 것을 철거를 하고

창고로 만들고 내부에 수세식 화장실을 만들었으니

정화조를 통과한 위생과 오수관 작업이 진행이 됩니다

 

 

 

사용 가치가 떨어진 마당을 정리를 하고 나니 속이 시원한것 같네요

 

 

 

내부의 완성된 모습이 처음 수리하기전의 일은

잊어버리게 되었네요~~많은 분들이 감탄을 자아내는

시골집의 변신 어느듯 끝마무리에 있습니다

 

 

 

구들방 내부의 완성된 모습이기도 합니다 한지

격자문과 한지로 마감된 벽과 천정이 조화미를 더하네요

 

 

 

장식품이 조금은 부족한듯 하지만 그래도 시중에

흔해빠진 정형화된 아파트의 방문보다 훨씬 정감이 있네요

 

 

 

내부에서 바라본 현관문과 서까래 대들보가

묵은떼를 벗고 나니 전혀다른 느낌이 나네요

 

 

 

노출된 전선과 처마밑 서까래도 시골의 멋을 전하는것 같네요

 

 

 

수돗가 ....텃밭에서 가꾼 채소라도 수확하는 계절이면

바깥에서 설렁설렁 씻어 이웃에 나눠주고

야외 마당에 마련한 가든파티에서 익는 삼겹살의

맛이 전해지는듯 하지 않는지요

 

 

 

참 오랜 시간이 소요된것 같습니다 특히 겨울철이라

작업에 차질이 많아 예상시간 보다 지체가 되었으나

그나마 보람을 느끼는 것은 남들이 할수 없다고

한 일을 마쳤다는 생각에 고생하였던 일이 아득하여

지는듯 하는군요 

 

 

 

시골집수리하기전의 처음의 사진을 기억 하시는지요......

꽃피는 춘삼월이 되면 주위엔 녹음이 우거지고

아지랭이라도 필라치면 더욱 시골집이 그립지 않을까요

 

시골집과 한옥 리모델링을 계획하고 계시는 분들은

시골집과 한옥만 전문으로 작업을 맡겨야 후회하지 않습니다

https://youtube.com/watch?v=1Lyq9azfMOc&feature=shares

 

 

 

 

시골집리모델링 전문 카페 참고

http://cafe.daum.net/c1go 

 

 

 

 

 

 

전남은 목포,신안, 광주,완도,해남,강진,영암,장흥,무안,함평,보성,화순,담양,

장성,진도,목포,신안,순창,고창,영광,곡성,광양,구례

북 지역인 군산,부안,익산,전주,완주,김제,무주,장수,진안,남원,순창,정읍,

고창이며 경북지역은 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

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으로 분류가 되고

경남으로 지역으로는 함양,산청,거창,합천,고령,창녕,밀양,진영,김해,진례,한림,

양산,삼랑진,물금,마산,창원,고성,통영,거제,진동,진주,사천,남해,함안,군북,의령이 있다

충남은 당진,서산,태안,홍성,예산,아산,보령,청양,부여,서천,논산,금산,천안이며

충북은 청주,진천,증평,괴산,음성,충주,제천,단양,괴산,보은,옥천,영동으로 분류가 된다.

 

시골 구옥 리모델링/구옥 촌집 수리/구옥개조/구옥 농가주택 리모델링/농촌 집 수리/헌집 개조 수리

/시골집 주택 리모델링/농촌 집주택리모델링/옛날집/오래된/흙집/시골집 주택 개조/시골집 주택

/구옥수리/구옥개조/구옥 리모델링/농촌 집 수리/헌집 개조/노후주택

/헌집 고치기/시골집 고치기/시골 촌집 개조/농촌 집 주택 수리/낡은/농촌집 리모델링/창고개조

 /시골촌집수리/시골촌집리모델링/한옥수리/시골집 한옥 리모델링/농촌주택개조/우삶공/옛날주택

/정화조 설치 공사 묻기 /시골한옥개조/시골한옥수리/시골 한옥고치기/시골집한옥 리모델링

/시골집한옥수리/농촌 집 견적/농촌집개조/폐가/비용/증축/개조/수리/수리 비용/헌집수리

/허름한/노후된/노후한/옛날집 수리/고향집 수리/농촌집 수리 /귀농 시골집 수리 비용/인테리어

/구옥 주택/농가주택 리모델링/농가주택 수리/농가주택 개조/농가 개조/농가 수리/농가리모델링 

 

 

#귀농 #귀촌 #시골생활 #촌집수리 #농가주택리모델링 #시골집수리 #촌집리모델링 #농가수리 #시골집리모델링 #농가주택수리 #경남촌집리모델링 #경남시골집리모델링 #시골집개조 #농가개조 #촌집개조 #경북시골집리모델링 #경북시골집개조
728x90

댓글